주식/ETF

펀드?주식? 난 ETF한다! ETF 소개 (1) Intro

nadalbooks 2021. 1. 3. 00:07

안녕하세요~ 주린이39입니다.

여러분, 요즘 동학개미운동이 한창이죠? 너도나도 주식을 하는 시대입니다.

주변에 다들 주식을 하고, 주식 얘기만 하는데, 나는 왜 안 할까...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아마 이런 분들 대부분은, 내 돈을 잃을 수도 있는데?”라는 생각 때문이실 것 같습니다.

내가 산 종목이, 하락해버리면 돈을 잃게 되니까요.

 

개별 종목을 사면, 잃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리스크가 커지는 것은 당연하죠.

그런 사람들을 위해 명언이 하나 있습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여러 개의 바구니에 계란을 나눠담으라는 격언으로,

아마 주식을 안 하시는 분들도 이 말은 다 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 종목에 나누어 분산투자하라는 뜻이죠.

 

그런데, 우리같은 주린이들에게, 여러 바구니에 담는 것도 어려운 일이고,

여러 바구니를 다 고르기가 힘들겠죠?

 

그래서 여러분들에게, 알아서 여러 바구니에 나누어놓은 금융상품,

금융판 뭘 고를지 몰라 다 준비했어

ETF를 소개합니다!

 

 

  • ⑴ 그래서 ETF가 뭐에요?

 

ETF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입니다. 한국어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하죠.

어 그러면 펀드인 거네요? 그런데 펀드가 아니고 따로 이름을 붙이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텐데.

펀드와의 차이점은 뭘까요?

 

펀드처럼, 여러 자산에 알아서 배분되어 있고, 우리는 그 배분된 형태를 사는 것은 동일합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펀드는 11시세로 결정됩니다.

그리고 중간에 팔고 싶다면 그 펀드를 정말 보유하고 싶은 사람에게 팔아야 합니다.

그런데 ETF는 펀드는 펀드인데 수시로 시세가 바뀐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주식시장이 열린 동안, ETF는 그 가격에 맞게 거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ETF를 되팔고 싶으면 ETF를 사고 싶어하는 사람한테 팔아도 되고, ETF 업체에 되팔아도 됩니다. 이 업체는 LP라고 하는데 뒤에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은 주식과 동일하고,

배분이 되어 있는 형태라는 점은 펀드와 동일합니다.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가지고 와 혼합한 형태인 것이죠.

 

 

  • ⑵ 분산투자된 주식! 그럼 어떤 식으로 분산투자되어 있나요?

 

펀드도 펀드마다 분산투자된 방식이 다 다르죠.

ETF도 분산투자 방식이 제각각이고, 그게 이름에 다 적혀있습니다.

 

예시를 들어드릴게요.

“KODEX 2차전지산업이라는 ETF입니다.

ETF 이름을 보니, KODEX라는 부분과 2차전지산업으로 나누어지네요.

KODEX는 ETF를 운용하는 운용사 이름입니다.

KODEX로 시작하는 ETF는 전부 다 같은 운용사의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차전지산업은 보시면 아시겠죠? 2차전지 관련주에 투자하겠네요.

 

 

그런데, 이름만 봐서는 2차전지산업에 투자하는 것은 알겠는데,

대체 어떤 식으로 어떻게 투자하는 건지, 그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에 검색하는 방법,

ETF 운용사에 들어가서 검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둘의 정보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운용사의 정보가 맞으니 참고하세요!

 

 

그럼 “KODEX 2차전지산업은 어떻게 분산투자를 해 놓았을까요?

우선 네이버 증권을 활용하는 방법부터 알려드릴게요.

 

네이버 증권 링크 :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05720

이 링크를 타고 들어가셔도 되고, 네이버 증권 들어가셔서 검색창에 KODEX 2차전지산업 치시면 들어가셔서 세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네이버 증권 화면입니다. 네이버 증권을 휴대폰으로 보는 것은 비추드려요!

보시면 이런 화면이 나올텐데요, 이 사진 맨 아래에 [ETF분석]이 보이시나요?

이 부분을 눌러주세요.

 

누르시면 이런 형태의 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스크롤을 조금 내리시면....

 

!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바로 구성종목과 그 비율을 보여주는 칸이죠.

여러분들이 “KODEX 2차전지산업1주만 사면, 이 안에 LG화학 18.87%, 삼성SDI 15.70%, 이런 식으로 다 나눠서 담은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겠네요.

 

 

그럼 두 번째로, 운용사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방법!

“KODEX 2차전지산업의 운용사는 KODEX이니까 여길 들어가야겠죠?

운용사 홈페이지 링크 : http://www.kodex.com/main.do

메인 화면에서 조금 더 내려가시면,

이런 형태의 검색창이 보이네요.

물론 검색 방식은 운용사 홈페이지마다 다릅니다. KODEX 홈페이지는 친절한 편!

우리는 ETF 상품명을 검색할 거니까, 상품명 검색에다가 “KODEX 2차전지산업”을 검색!

 

검색하니까 이런 화면이 나오네요.

그러면 좌측 하단에 제가 빨간 박스 친 부분이 보이시나요?

이 부분을 누르면 ETF 소개로 넘어가게 됩니다.

짜잔! 도착했습니다.

우측 하단에 투자종목정보를 눌러주시면, 어떤 종목들이 얼마나 담겨있는 ETF인지 볼 수 있어요.

 

아래 종목들이 주르륵 나오는데 화면상 생략할게요.

여기서도 홈페이지마다 차이점이 나오는데,

KODEX의 경우 기준일자별로 비중을 전부 공개하고 있어요.

기본 설정은 오늘 날짜인데, 그렇다보니 시장이 안 열리는 날에는 아무것도 없는 칸이 나와요.

기준일자를 시장이 열리는 날짜로 바꾸어주시면, 구성종목과 비중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방법! 바로 제 티스토리 블로그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헤헤)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ETF가 무엇인지 소개하고, 구성종목은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ETF를 매수할 때 눈여겨봐야 할 지표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성투를 기원합니다! 화이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