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린이39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물품을 필수소비재라고 합니다.
이런 필수소비재를 파는 것에 집중하는 기업들이 많은데요,
필수소비재 기업을 모아놓은 ETF, " KODEX 필수소비재 "를 소개합니다.
⒈ 기본 정보 (2021. 02. 10. 기준)
평균 일일거래량 |
32,000 |
수수료 |
0.450% |
추종 지수 |
KRX 필수소비재 |
분야 |
국내주식, 섹터 |
3개월 수익 |
+13.50% |
1년 수익 |
+17.93% |
분배금 지급 |
최대 연 5회, 지급 기준일 :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
||
세금 |
매매차익은 비과세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
||
최근 3년 분배금 |
![]() |
* 평균 일일거래량은 2021년 2월 일일거래량을 평균낸 것입니다.
⒉ 추종지수 설명 (KRX 필수소비재)
개요 |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에서 글로벌산업분류인 GICS(경제섹터-필수소비재) 기준으로 변경하여 산출 시가총액과 거래대금을 중심으로 유니버스(KRX BMI) 선정 후 KRX종목구성 기준을 충족하는 종목을 모두 편입하여 유동시가총액 방식으로 산출 지수내 한 종목의 시가총액비중을 20% 이내로 제한 |
리밸런싱 |
연 1회(매년 KOSPI 200 선물시장 9월 결제월 최종거래일의 다음 매매거래일) |
우선 필수소비재가 어떤 산업을 말하는지 이해하셔야 이 ETF에 어떤 기업이 편입될지 예상하실 수 있습니다. 필수소비재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식료품이 있으며, 생필품도 필수소비재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식료품과 생필품을 우리에게 전달하는 기업인 유통업도 필수소비재 기업에 해당됩니다.
⒊ 구성 종목 및 분석 (2021.02.10. 기준)
전체 종목 : 41개, 상위 10개 종목 비율 : 76.55% |
|||
LG생활건강 |
21.07% |
오리온 |
4.96% |
KT&G |
15.32% |
아모레G |
3.03% |
아모레퍼시픽 |
12.97% |
BGF리테일 |
2.42% |
이마트 |
6.35% |
동서 |
2.39% |
CJ제일제당 |
6.13% |
하이트진로 |
1.91% |
원화예금 (현금) 비율 : 1.92% |
- LG생활건강 (051900) : 화장품, 생활용품 및 음료를 생산하는 LG의 계열사.
- KT&G (033780) : 한국담배공사가 민영화된 기업으로, 담배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회사.
- 아모레퍼시픽 (090430), 아모레G (002790) : 한국 최대의 화장품 회사로 여러 유명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 아모레G는 아모레퍼시픽의 지주회사.
- 이마트 (139480) : 한국의 유통업 기업으로, 신세계 계열의 대형마트 기업.
- CJ제일제당 (097950) : 한국의 식품업 기업으로 CJ 계열사. 정말 다양한 식료품 및 가공식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바이오 산업도 일부 하고 있음.
- 오리온 (271560) : 한국의 제과 관련 기업. 기업 대표 제품은 초코파이.
- BGF리테일 (027410) : 한국의 편의점 운영 기업. CU를 운영하고 있음.
- 동서 (026960) : 동서식품의 지주사로, 다양한 식품 및 음료를 판매하고 있음. 맥심, 티오피, 에비앙, 제티 및 각종 차를 판매하고 있는 회사.
- 하이트진로 (000080) : 한국의 주류회사. 참이슬, 진로, 하이트, 테라 등을 판매하고 있음.
필수소비재에 해당하는 기업들이 많이 담겨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생활용품 관련 기업인 LG생활건강, 식료품 관련 기업임 CJ제일제당 및 오리온과 동서, 주류 및 담배회사인 하이트진로와 KT&G, 유통업계인 이마트와 BGF리테일도 담고 있습니다.
상위 10개 기업은 아니지만 인지도가 높은 기업으로는 농심, 오뚜기, 롯데칠성, 삼양식품, 빙그레, 하림, 매일유업, 풀무원 등이 있습니다.
⒋ 괴리율, 추적오차 추이
필수소비재 기업은 경제위기가 오거나 이번 코로나 사태와 같은 상황에서 매출이 크게 감소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기 상황에서도 주가가 안정적으로 움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당장 이 ETF의 가격도 변동 폭이 매우 작게 움직이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험 상황에서 이런 ETF를 들고 있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운영을 가능하게 하겠습니다.
언제나 우리가 소비하는 제품인 필수소비재를 내 포트폴리오에 넣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출처 >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66410#
http://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80
'주식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스팩주 ETF! (3) SPXZ (Morgan Creek – Exos SPAC Originated ETF) (0) | 2021.02.18 |
---|---|
미국의 스팩주 ETF! (2) SPAK (Defiance Next Gen SPAC Derived ETF) (0) | 2021.02.16 |
미국의 스팩주에 투자하자! 스팩주ETF (1) SPCX (SPAC and New Issue ETF) (0) | 2021.02.13 |
K-뷰티 업계에 투자하자! 화장품ETF! TIGER 화장품 (228790) (0) | 2021.02.12 |
중국의 대형주에 투자하는 중국 대형주ETF! ⑶ KODEX 심천ChiNext(합성) (256750) (0) | 2021.02.11 |